본문 바로가기

귀 기울여.../오늘은...

불상의 모습이 다 다른이유는?



부처님들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사찰에서 부처님들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으나, 그 구분법은 각기 다른 손모양을 잘 알면 쉽게 판단이 됩
니다. 그 부처님들의 손모양을'수인(手印)'이라고 합니다.

모든 불보살의 깨달음과 서원을 손모양 또는 손동작으로 나타낸 것을 '수인(手印)'이라 하며, 여기에는
'석가모니불'은 대표적으로 항마촉지인, '비로자나불'은 지권인, '아미타불'은 구품인(九品印),
미륵불은 시무외인과 여원인을 하고 있으며, 불상의 손은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부처님의 덕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여러 모양을 만들어 표현한 것입니다.

수인을 다른 말로는 인계(印契), 인상(印相), 밀인(密印), 계인(契印)이라고도 하며, 교리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불상을 만들 때 함부로 형태를 바꾸거나 다른 부처님의 수인을 취해서도 안됩니다. 따라
서 수인은 여러 종류의 불상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 되기도 합니다.

수인은 손의 형상으로서 그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고, 계인은 지물을 들어 그 상징성을 표현합니다. 수인
과 계인은 불교 그 자체로 상징한다기보다 불·보살의 모습으로 근본서원을 표현한 것입니다.
-------------------------------------------------------------------------------------------------

참고로 수인의 종류에는 '석가모니불'의 근본 5인(항마촉지인, 선정인, 전법륜인, 시무외인,여원인)부
터 '아미타불'의 구품인(九品印),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 등 매우 다양합니다.

1. '석가모니불' ->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근본 5인중 대표적인 수인, 대부분의 사찰에서 볼 수 있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선정인(禪定印)
법계정인(法界定印)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이 결가부좌 상태로 참선 즉 선정에 든 때의 수인입니다. 왼쪽
손바닥을 위로 해서 배꼽 앞에 놓고, 오른손도 손바닥을 위로 해서 그 위에 겹쳐 놓으면서 엄지 손가락
을 서로 맞대어 놓는 형식입니다.

(2)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석가모니불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붓다가야 보리수 아래서 마왕 파순을 항복시키고 성도한 뒤 당신
의 깨달음을 지신(地神)에게 증명해 보라고 말하면서 지은 수인입니다. 선정인에서 왼손은 그대로 두고
위에 얹은 오른손을 풀어 손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고 있는 모습입니다.

(3) 전법륜인(轉法輪印)
길상인(吉祥印)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의 설법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부처님이 성도 후 다섯 비구에게 첫
설법을 하며 취한 수인으로, 엄지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맞대고 왼손 새끼손가락 밑을 바른손의 손가락
맞댄 곳에 가져다 댄 모습이다.

(4) 여원인(與願印)
부처님이 중생에게 자비를 베풀고 중생이 원하는 바를 달성하게 하는 덕을 표시한 수인입니다. 손의 모습
은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손가락은 펴서 밑으로 향하며, 손 전체를 아래로 늘어뜨리는 모습입니다.
통상 미륵불의 수인임.

(5) 시무외인(施無畏印)
중생에게 무외를 베풀어 우환과 고난을 해소시키는 덕을 보이는 수인입니다. 손의 모습은 다섯 손가락이
가지런히 위로 뻗치고 손바닥을 밖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형태입니다. 이 시무외인과 여원인은 부
처님마다 두루 취하는 수인으로 통인(通印)이라고도 한다. 입상(入像)의 경우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
은 여원인을 취하고 있습니다. 통상 미륵불의 수인임.

--------------------------------------------------------------------------------------------------

2. 미륵불: 여원인(與願印)과 시무외인(施無畏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원인(밑으로 향한 손)과 시무외인(외로 들어 펼친 손)은 동시에 좌우 손모양을 취하며, 통
상 미륵불의 손모양이라고 한다.

--------------------------------------------------------------------------------------------------

3. 비로자나불 -> 지권인(智拳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결인이다. 두 손으로 각각 금강권을 만들고, 왼손의 집게 손가락을 펴서 바른 주먹
속에 넣고, 바른손의 엄지손가락과 왼손의 집게손가락을 마주대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은, 오른손은
불계를 표하고 왼손은 중생계를 표한 것이므로 이 결인으로서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고, 미와 오가 일
체인 깊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이(理)와 지(智), 중생(衆生)과 불(佛), 미(迷)와 오(悟)가 본래 하나라는 상징으로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서 각각의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으로 감추고 다른 손가락을 감싸 주먹을 쥔 형태하고 있습니다. 이
손모양을 통해 진리를 즉시 깨우치게 하려는 것입니다.

--------------------------------------------------------------------------------------------------

4. 아미타불 -> 구품인(阿彌陀九品印) 또는 구품정인(九品定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미타불이 취하는 9가지 수인.

극락에 왕생하는 중생들의 성품은 모두 다르다. 이에 따라 아미타불이 알맞은 설법을 위해 중생들을 상·
중·하 3등급으로 나눈 뒤 이들 3등급을 다시 3분하여 모두 9등급으로 나눈 것을 구품(九品)이라 한다.
각 단계에 맞게 설법해야 모두 구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구품을 아미타불의 수인(手印: 무드라)에 적
용한 것이 구품정인이다. 묘관찰정인(妙觀察定印)·아미타구품인이라고도 한다. 크게 상중하 삼품으로 나
뉘며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상품인(上品印): 상품상생인(上生印), 상품중생인(中生印), 상품하생인(下生印)이 있다.
선정인(禪定印)과 동일한 형태이다. 상품상생인(上生印)은 무릎 위 단전 아래에 먼저 왼손을 놓고 그 위
에 오른손을 포개 놓은 다음 집게손가락을 구부려서 엄지의 끝을 마주 대어 집게손가락이 서로 닿게 한
다. 상품중생인(中生印)은 상품상생인의 모양에서 중지를 구부려 엄지에 대며, 상품하생인(下生印)은 역
시 상품상생인의 모습에서 무명지를 구부려 엄지에 댄다.

② 중품인(中品印): 중풍상생인(上生印), 중품중생인(中生印), 중품하생인(下生印)이 있다.
두 손을 가슴 앞까지 들고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게 한다. 중품상생인은 이 때 두 손의 집게손가락을 엄지
와 마주대며, 중품중생인은 장지를 엄지에 대고, 중품하생인은 약지를 엄지에 마주댄다.

③ 하품인(下品印): 하품상생인(上生印), 하품중생인(中生印), 하품하생인(下生印)이 있다.
중품인과 같은 요령으로 한다. 단 왼손이 아래로 향한다. 하품상생인·하품중생인·하품하생인의 3가지
가 있다. 이와 같이 아미타불의 수인은 다양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아미타정인, 즉 선정인과 항마촉
지인(降魔觸地印)을 한 모습으로 표현된다.

--------------------------------------------------------------------------------------------------

5. 약사여래불 -> 약기인(藥器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병마를 없애준다는 의미로 손에 약사발을 들고 있는 수인을 말하는데, 병을 고쳐준다는 '약사여래불'의
계인이다.


출처 : 네이버지식 venuslv(미소가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