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여행
![]() 동해에서 가장 큰 섬 울릉도 그리고 부속 섬 독도. 울릉도에 가보셨나요.? 뱃길로 3시간 거리에 있지만 한번 가기 쉽지 않은 우리의 땅 울릉도를....... 가수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땅" 노래를 기억하시나요? 80년대 초 선풍적인 인기 속에 많은 이들이 "신라 장군 이사부 지하에서 웃는다 독도는 우리땅........"을 소리쳐 불렀습니다. 특히 일본과의 운동경기에선 빼 놓을 수 없는 응원가였고 저도 큰 소리로 불러 본 기억이 새롭습니다. 그러치만 언제나 노래가 끝난 후 독도는 연기처럼 사라져가고..... 울릉도 오징어만 생각나는 것은 무얼까요.? 제가 다녀 본 섬 중 물맛이 가장 좋고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 울릉도입니다. 이제 울릉도 사진 여행을 시작 합니다. / 사진-글: 변희석 기자 light@chosun.com (사진 위) 울릉도로 가는 쾌속 여객선을 탈 수 있는 항구는 포항, 묵호, 후포, 속초다 . 육지와의 거리는 강원도 삼척군 임원리로 부터 134km로서 가장 가까우며 주민들의 주생활권인 경상북도 포항으로 부터 217km 떨어져 있다, 울릉도를 처음 방문하는 여행하는 사람들 중 배멀미가 심한 사람들은 도동항 도착시 거의 환자 수준이다. ![]() 뱃길로 3시간 후 도착하는 울릉도는 한폭의 그람처럼 여행자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그런지 외국땅을 밟은 느낌이다. ![]() 울릉도에 첫발을 내 딛는 곳이 도동항이다. 모든 여객선이 이곳에 닷을 내린다. 새벽이면 만선의 깃발을 단 오징어 잡이 배가 들어와 항은 오징어로 북새통을 이룬다. 항에서 10분 거리에 독도박물관이 있다. 이 곳에는 독도에 관한 역사 적인 문헌자료와 세계각국의 독도에 관련된 지도를 전시 독도가 우리 땅인 것을 입증한다. 독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사라진 것에 대한 항의로 지난 여름 잠정 폐쇄하기도 했다. ![]() 새벽녘 도동항 방파제에서 보았다. t>
![]() 울릉도의 대표적 산업은 오징어 잡이이다. 7~10월은 오징어 잡이 철로 어둠이 내리면 바다는 불야성을 이룬다. 도동항 근처의 울릉도 전망대에 올라 보면 오징어 잡이배의 불야성을 제대로 볼 수 있다. (사진 위) 밤하늘은 밝힌 오징어잡이 어선들. 울릉도 여행시 놓치면 안되 는 볼거리이다. 우리나라 여러 전망대 중 가장 인상 깊은 곳으로 전망대는 케이블카를 타고 오른다. 유료이다. 울릉도 오징어는 뭍에서 알아주는 상 품으로 도심에서 판매하는 울릉도 오징어의 90%는 가짜라고 한다. 호박엿 과 함께 울릉도의 특산물이다. ![]() 구름과 바닷가가 푸르다. 도심의 오염과는 또 다른 청정지역이다.
![]() 해안을 중심으로 네 곳의 터널을 뚫고 만들어진 울릉도 일주 도로. 해안 드라이브는 환상적이다. 울릉도 자연환경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통 되었다. 도로가 없는 곳은 배를 이용한다. 지난 63년 울릉도 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착공된지 39년만에 전체 구간 44.2㎞ 가운데 기술상의 문제와 환경보존 등으로 유보된 4.4㎞의 내수~섬목 구간을 제외한 39.8㎞ 전 구간이 개통됐다. 울릉군에 등록돼 있는 5000여대 차량의 원활한 통행과 지역간 균형발전, 관광특수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 울릉도 부속 섬 중 가장 큰 죽도(竹島). 관광객이 꼭 둘러보는 섬으로 유람선 여행시 1시간 코스로 둘러 본다. 섬에는 한가구가 살며 농사와 관광객을 대상으로 음식점을 운영한다. 민박도 할 수 있어 권할만 하다. 섬 주위로 전망이 좋은 곳은 쉴 수 있는 벤치가 있어 조용히 바다 경치를 감상 할 수 있다.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竹島)라 부른다. 3년 전 애국적인 한 독자의 메일을 받었다. 내용인 즉 어떻게 디지틀조선일보가 독도를 죽도로 표기하느냐며 항의 메일을 보내왔다. 너무도 어이없는 메일을 보고 화가 났던 기억이 난다. 어떤이는 날이 좋으면 육안으로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데 기자가 울릉도에서 만나 본 주민들 중 어느 누구도 울릉도에서 독도를 본 사람이 없었다. 위 사진을 보면 쉬 알 듯이 죽도는 도동항에서 유람선으로 10분이면 닿는 가까운 섬인데 메일의 주인공은 일본이 독도를 죽도라 부르듯 죽도하면 모두 독도로 오해한 것이다. 어떻게 위 사진처럼 울릉도 본 섬이 이렇데 훤히 보이는가를 생각 못할까 ? ![]() (사진 위) 유람선에서 바라 본 울릉도 송곳산. 하늘을 찌르듯 유난히 우뚝 선 모습이 인상적이다. (사진 아래) 해안 풍경. 도보로 트레킹을 하면 울릉도의 참 풍경을 볼 수 있다. ![]() 울릉도의 유일한 평지인 나리분지 전경, 섬백리향, 울릉국화 등의 천연 기념물과 너와집.투막집등 문화재를 동시에 관광할 수 있다. 주로 약초를 재배 큰 소득을 얻는다. 도심 관광객의 증가로 서너 군데 음식점이 있어 향토음식과 술을 판다. 울릉도 어디를 가나 바다를 볼 수 있으나 나리분 지는 바다를 볼 수 없는 울릉도 내의 이색지대이다. ![]() 섬 여행 시 가장 불편한 문제가 물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울릉도는 물 걱정을 마시라. 육지 어느 곳
보다 깨끗하고 맛난 물이 풍부하다. 봉래폭포에서
흐르는 용출수 물은 모두 바다로 흘러 간다. 점심
식사 후 물을 주문하니 식당 아저씨 하는 말,
"거기 화장실 수돗물 먹어도 되요"
울릉도 물 수질을 대변하는 한 말씀이다. 여행객이
울릉도에 하루만 묵어도 피부가 좋다고 한다. 육지
에서 좋다고 하는 온천수와 같은 효력을 주어 울릉
도 아이들 모습을 보면 어느 도회지 아이들 처럼 얼
굴 피부가 밝다.
![]() 울릉도 정상 성인봉을 오르다 본 해국(海菊). 해안 주변에 분포 되어있다.
![]() 해안가 산 능선의 기암괴석, 하나의 수석처럼 자연의 오묘함을 엿볼 수 있다.
송곳산 뒷편 모습이다.
![]() 울릉도 도동항 방파제 곳곳에는 괭이갈매기가 그림같은 모습으로 앉아 있다.
![]() 강력한 회오리바람이 바닷물을 하늘로 말아올리는 '용오름' 현상이 울릉도
해상에서 13년 만에 목격됐다. 사진/ TBC대구방송제공 2001.8.27 촬영
![]() 울릉도 일주 유람선 2시간 30분 유람 코스로 해안 절경을 볼 수 있다.
유람선은 울릉도 해안 일주와 독도 유람선이 있다.
![]() 유람선에서 바라 본 울릉도 송곳산, 유람선 주위로 쾡이갈매기가 날아 든다.
관광객이 던져주는 과자를 먹으려고 맴도는 것이다.
사진/ 월간조선 이오봉 사진팀장
![]() 유람선과(좌) 코끼리 바위. 멀리서 보면 코끼리가 물을 먹는 형상이다.
![]() (사진 좌) 해안 기암괴석 아래에서 바다 낚시를 즐기는 낚시 관광객.
(우) 울릉도에서 오징어내장을 미끼로 88cm, 14kg 짜리 흑돔을 끌어낸
이창복씨. 사진/조선일보 월간낚시
![]() (사진 위) 울릉도 도동항을 출발한 쾌소 유람선이 2시간 30분 만에 도착한
동해 맨 끝 자락에 있는 독도 전경.
(사진 아래) 우리 나라의 최동단 국토, 독도. 사진/ 월간 산 한필석 기자 유람선 관광객은 독도에 내리는 것이 아니라 유람선이 독도 주위를 돌며 볼 수 있게 한다. 처음 독도를 보는 관광객은 가슴이 뛴다고 한다.
언제나 영상으로 접하던 최동단 독도를 그 것도 일본이 자기네 땅이라 생떼쓰는 독도를 바라보며 각자 가슴속에 무언의 뜻을 세우는 것 같다. 배에서 내려 독도에 상륙하지 못한 마음은 독도를 보는 것으로 보상되며 우리 땅인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기며 울릉도로 돌아 간다.
대한민국 울릉도를 기준으로 볼 때 동남쪽으로 92㎞떨어져 있고, 연락선이 다니는 포항에서는262㎞, 본토와 가장 가까운 곳인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 바닷가에서는 217Km 떨어져있다.
한편, 일본방향으로 가장가까운 섬인 오끼섬(隱岐島)에서 보자면 북서쪽으로 161㎞, 가장 가까운 본토인 시마네현 히노미사키(日御崎) 해안에서 보자면 북서쪽 208㎞떨어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독도는 한국의 섬 중에서는 가장 동쪽이기도 하거니와 본토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섬이기도 하다. 독도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1~산37 이다. 독도경비대 주소는 동도의 산35번지, 독도를 주민등록상 거주 주민은 김성도씨가 거주하고 있는 서도의 산20번지가 있다.
![]() |
'세상밖으로의초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KFC 창업자 커넬 할랜드 샌더스(Colonel Harland Sanders )이야기 (0) | 2008.06.03 |
---|---|
'몸짱' 샤라포바...비밀은? (0) | 2008.05.24 |
“GREENPEACE(그린피스)엔 정치활동가들만 남았다” (0) | 2008.05.10 |
세계를 감동 시킨 사진 한 장과 글 (0) | 2008.05.05 |
소리를 찍는 카메라는 어쿠스틱 카메라(Acoustic Camera) (0) | 2008.05.05 |